제 글에 예상외로 리플이 많이 달렸더군요.

좌파, 좌익, 진보 등등의 용어의 이해를 위해 사전에서 찾아 보았습니다.




-좌익 : 좌익(左翼) 또는 좌파(左派)는 정치 성향 분포에서 우익의 반대편에 위치한 쪽으로, 사회의 변동을 추구하는 정치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일컫는다. 한편으로는 자유보다는 평등을 중시하는 정치 입장을 말하기도 한다.[1] 비슷한 말로는 진보주의라고 할 수도 있다. 21세기 세계사에서 볼 때에 일반적으로 사회주의, 공산주의와 무정부주의를 좌익으로 본다.


-유래 : 프랑스 대혁명 당시, 상대적으로 사회변동에 온건한 지롱드당이 의회의 오른쪽 부분에, 급진적인 자코뱅당이 의회의 왼쪽 부분에 위치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 '좌익'이란 단어는 역사적으로 볼 때, 고정된 의미를 가진 단어가 아니다. 다시 말해, '좌익'은 뜻이 항상 변화하는 단어라는 것이다. 사회의 변동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좌익으로 불리며, 혹은 그렇게 몰린다. 중세 유럽 봉건시대때에는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려는 상인들이 좌익이었으며, 봉건영주에게 맞서 농노들의 권익을 지키려고 한 사람들이 좌익이었다. 프랑스 대혁명 당시에는 절대군주의 권력에 맞서 프랑스 전체 시민의 권리를 지키려고 한 사람이 좌익이었으며, 이 속에는 지금은 우익으로 분류되는 부르주아지도 포함된다. 21세기 세계에서는 절차적 민주주의가 어느 정도 성취된 상태에서, 노동운동이 좌익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규정과 정의에 따라 평등보다 자유를 중시하는 자본주의 입장을 우익, 평등을 중시하면 좌익으로 보기도 한다.


-한국에서의 좌익 :한국의 좌파는 1920년대 이후 조선공산당 결성 등으로 활동했으며, 1945년 해방 직후에는 남한에서 남로당 결성 및 대중 선동 집회 등으로 활동했다. 실제로 한반도 공산주의 운동은 북한보다 남한에서 활발했다.[2]하지만 유상 몰수, 유상 분배 성격의 토지개혁으로 일부 소작인이 토지를 소유하는 혜택을 받게 되었고, 남로당 및 조선공산당의 주요 당원이 검거되면서 한국의 좌파는 쇠퇴하였다. 주요 지지 계층과 핵심 활동가의 제거로 쇠퇴하게 된 것이다. 더구나 5·16 군사정변 이후 반공을 국시로 하는 군사 독재정권의 등장으로 한국의 진보적인 사회운동은 공산주의 또는 북한의 지령을 받은 친북 세력으로 매도되거나, 인혁당 사건처럼 국가에 의해 조작된 사건으로 탄압받는 일도 있었다.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동조하거나 그 주장과 비슷한 이념을 좌익으로 규정하고,[3] 국가보안법을 통해 이들을 처벌하고 있으며, 좌익이라는 용어보다는 “급진 좌경 세력”이란 용어가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좌익이 반드시 공산주의를 뜻하지 않음에도, “좌익” = “공산주의”로 통용되어, “좌익”이란 용어를 스스로 사용하는 단체는 없다. 대신, 어감상 좀 더 부드러운 “좌파”라는 용어가 “좌익”을 대신하여 사용되고 있다.

1990년대 들어 소련이 해체되면서, 좌파의 세력은 줄어들었으나, 반대로 북한에 동조하지 않는 좌파 운동은 이전보다 더욱 더 활발해졌다. (아래 소개된 좌파 단체 참조. 아래 소개된 단체들은 대부분 1990년대 중반 이후 공식적인 활동이 가능해졌다.)


-한국의 대표적 좌파 단체
정당 : 민주노동당, 한국사회당 등이 좌파 정당으로 꼽힌다. 역사적으로는 죽산 조봉암이 당수로 있던 사회민주주의 정당인 진보당을 비롯, 박헌영이 총서기로 있던 조선 공산당이 있다.
보수 우익 단체로부터 한겨레신문, 전대협, 한총련 등이 좌파라 불리고 있지만, 사전적 의미로서, 일반적으로 이들을 민족주의 성향의 중도 우파로 분류하기도 한다. 대통합민주신당 역시 한국의 우익단체의 기준으로는 좌파정당로 불리고 있지만, 북한에 대한 평화정책을 내세우고 있다는 점만 빼면 대통합민주신당과 명백한 우파정당인 한나라당의 정책적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비정규직 문제, 이라크 전쟁 한국군 파병 문제, 한미 FTA 문제, 재벌 문제 등)
지난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이회창은, 이명박과 한나라당 역시 좌파적이다는 발언을 한 바 있다.
기타 좌파 운동 단체 : 평등사회로 전진하는 활동가연대(줄임말 '전진'. 민중 민주주의 지향.), 노동자의 힘(줄임말 '노힘'. 노동자 현장투쟁 및 계급정당 건설 지향.), 노동해방실천연대(민주노동당의 사회주의 성격 강화 지향.), 다함께(반전 反자본주의 노동자 운동단체.)


-진보주의 : 진보주의 또는 혁신주의는 정치·경제·사회 체제의 개혁을 주장하는 정치 사상이다. 해방신학이나 민중신학처럼 교회의 사회참여를 강조하는 기독교 사상도 진보주의라고 부른다.

한국에서의 '진보'는 개혁을 주장하는 모든 세력을 뭉뚱그려 부르는 호칭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보수주의에서도 온건한 개혁을 주장하기도 한다. 실제로 한나라당이나 대통합민주신당 계열의 정당들이 몇몇가지 개혁정책을 추진한다고 해서 꼭 '진보'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뉴라이트 등 우파들은 '진보'라는 호칭을 '친북적인 공산주의'를 지칭하는 것처럼 사용하며 대통합민주신당 계열의 정치인들도 친북적 좌파라고 부른다. 대통합민주신당 계열의 중도 우파들은 자신들의 보수주의적 이념을 은폐하기 위해 자신들을 '진보'라고 부른다.

국제 표준적인 의미로서의 '진보주의'는 한국에서처럼 반공주의에 이용되기 위해서나, 자신들의 보수주의적 면을 은폐하기 위한 표현이 아니라, 이념적인 의미에서 현재 사회 체제를 개혁 혹은 변혁하는데 중점을 두는지 두지 않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이러한 기준에서 보면 현재의 민주노동당이나 한국사회당이 현재 정당들 중 진보주의를 실제로 표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익 : 우익(右翼) 또는 우파는 정치적 성향의 분포에서 좌익 또는 좌파에 반대되는 쪽으로, 일반적으로 보수적이거나 온건한 개혁을 주장하는 개인이나 단체를 말한다.


-유래 : 프랑스 혁명(1789년∼1799년) 당시 국민공회에서 입헌군주제를 주장한 지롱드당이 의장석의 오른쪽 자리에, 중간 성향의 마레당이 가운데, 급진 개혁을 주장하는 자코뱅당이 왼쪽에 앉은 것에서 우익, 중도, 좌익이라는 말이 유래되었다.


-일반적인 형태의 우익 : 프랑스 혁명 이후 민족주의가 대두하면서 군주 중심의 국가관에서 민족, 시민 중심의 국가관이 확립하고 되었으나, 이탈리아의 파시즘과, 독일의 나치즘, 일본의 군국주의 등으로 극단적으로 흐르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통해 이러한 극우는 모두 붕괴되었으나, 민족주의, 인종주의, 국수주의 등의 성향을 띤 스킨헤드 등이 여전히 남아 있다.
2차 대전 후 유럽, 오세아니아, 북미, 남미 등의 국가에서 중도(자유주의)가 확산되었다. 1980년대 이후엔 정치성향이 중도우파, 중도좌파라는 좌익, 중도, 우익의 정치적 성향이 혼합되는 형태가 나타나 21세기까지 이르고 있다.


-한국에서의 우익 : 해방 이후, 이념간의 갈등으로 사회주의를 주장하는 좌익과 친미·반공 성격의 우익으로 나뉘게 되었다. 한국에서의 우익의 개념은 다른 나라에서 보였던 민족주의를 기반으로 한 우익이 아닌, 사대주의를 배경으로 한 우익이라는 특징이 있다.[출처 필요] 일제강점기 친일 활동을 했던 인물들이 친미주의와 반공주의를 주장하는 우익 집단이 되었다.[출처 필요] 이 당시 진정한 의미에서 우익은 남한 단독 선거를 반대하는 민족주의를 주장한 백범 김구를 들 수 있으나, 우측 편향된 정치 분포(Political Spectrum)으로 김구는 중도파로 분류된다.[출처 필요] 이후 우익 단체들은 미국과의 동맹을 가장 중시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어떠한 대화도 거부하는 성향을 띠게 되었다.[출처 필요]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국시를 반공으로 하면서, 남한에서는 친미, 반공을 주장하는 우익 단체만 존재하게 되었다.[출처 필요] 그리고 우익에 반대되는 입장을 취한 모든 집단, 특히 사회주의, 노동운동 등을 하는 사회운동 단체나 개인을 “급진 좌경 세력” 또는 “좌경 용공 세력”으로 부르면서, 좌익의 개념이 사회개혁을 주장하는 개혁론자에서 “체제 전복을 노리는 불순 세력”으로 변질되었다.


-한국의 대표적 우익 단체
정당 : 한나라당, 국민중심당, 대통합민주신당(대통합민주신당의 경우, 우파적인 색채를 크게 드러내고 있지는 않으나, 현실 정치에서 추구하는 비정규직 문제, 이라크 전쟁 파병 문제 등을 볼 때, 학술적인 의미에서의 중도 우파 정당이라고 할 수 있다.)
언론 :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바르게살기운동본부, 재향군인회, 한국 기독교 총연합회
뉴라이트, 자유주의연대 : 이들 단체는 2002년 대통령 선거 이후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으며, 그 이전에는 잘 쓰이지 않았던 '우익', '보수주의' 등의 개념을 긍정적인 측면으로 사용한다. 대놓고 우익적인 가치를 추구하기 힘든 정당들에 비해 상당히 자유롭게 우익적인 가치를 확연하게 드러내는 편이다.


-보수주의 : 보수주의(保守主義, Conservatism)는 종교나 문화 및 민족의 전통적인 가치의 수호를 주장하는 정치 이념이다. 영어의 conservatism(보수주의)이라는 단어는 라틴어의 conservāre(보존하다, 지키다)에서 나왔다. 각 문화는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갖고 있기에, 문화에 따라 보수주의자들이 지키려고 하는 가치는 서로 달라지게 된다. 보수주의자들 중에는 현체제(status quo)를 유지하려 하는 이도 있고, 구체제(status quo ante)로의 복귀를 원하는 이도 있다.


-보수주의의 사상적 발전 : 보수주의에는 홉스의 리바이어선이나 로크의 통치론과 같은 고전적인 사상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대에도 보수주의란 무엇인가 하는 것은 여러 이념을 가진 정당들 사이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R.J. White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보수주의를 이름표 붙은 병에 집어넣으려 하는 것은 마치 공기를 흐르는 액체로 만들려는 것과 같다. ... 그 근본 자체로부터 나오는 문제인 것이다. 보수주의는 정치적 사상이라기 보다는 마음의 습관, 감정적 상태, 삶의 방법에 더 가깝다."[1]

보수주의가 하나의 사상으로서 나타난 것은 계몽기, 특히 1789년의 프랑스 혁명 시기에 일어난 일들에 대한 반발로서였다. 그 전에도 종교 개혁 시기의, 특히 성공회 신학자인 리처드 후커 등의 글에서 그 태동을 볼 수 있지만, 실제로 보수주의가 그 관점을 영향력있게 발언하기 시작한 것은 에드문드 버크(Edmund Burke)의 논설문 프랑스혁명에 관한 고찰(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in France) 이후라 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보수주의 : 한국에서 보수주의는 대통합민주신당, 한나라당, 민주당, 국민중심당 등 거의 모든 정당이 추구하는 바이다. 그러나 모든 계층으로부터 지지를 원하는 정당의 생리에 따라 이들이 실제로 보수주의를 명백하게 내세우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FTA 문제, 이라크 전쟁 파병 문제, 노동조합에 대한 시각, 자본주의에 대한 시각 등에서 이들 정당들은 공통적으로 보수주의적인 면모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한국에서 보수주의는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 이후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그것이 바로 뉴라이트 운동이다. 뉴라이트 운동은 기존의 정당정치와는 다르게 보수주의, 우익 등의 표현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용하였으며, 보수주의적 가치를 전파하기 위한 사상적 노력도 많이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인 뉴라이트 단체로는 뉴라이트전국연합, 자유주의연대 등이 있다.

-출처 : 위키 백과.
-짤방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갤러리니까 사진 하나는 올려야 할거 같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