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edia.daum.net/society/education/view.html?cateid=1012&newsid=20100311014807567&p=khan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 둔다. G세대로 '빛나거나' 88만원 세대로 '빚내거나', 그 양극화의 틈새에서 불안한 줄타기를 하는 20대. 무언가 잘못된 것 같지만 어쩔 수 없다는 불안에 앞만 보고 달려야 하는 20대. 그 한 가운데에서 다른 길은 이것밖에 없다는 마지막 믿음으로.

이제 나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25년 동안 긴 트랙을 질주해왔다. 친구들을 넘어뜨린 것을 기뻐하면서. 나를 앞질러 가는 친구들에 불안해하면서. 그렇게 '명문대 입학'이라는 첫 관문을 통과했다. 그런데 이상하다. 더 거세게 채찍질 해봐도 다리 힘이 빠지고 심장이 뛰지 않는다. 지금 나는 멈춰 서서 이 트랙을 바라보고 있다. 저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취업'이라는 두 번째 관문을 통과시켜 줄 자격증 꾸러미가 보인다. 다시 새로운 자격증을 향한 경쟁 질주가 시작될 것이다. 이제야 나는 알아차렸다. 내가 달리고 있는 곳이 끝이 없는 트랙임을.

이제 나의 적들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이름만 남은 '자격증 장사 브로커'가 된 대학, 그것이 이 시대 대학의 진실이다. 국가는 의무 교육의 이름으로 대학의 하청 업체가 되고, 대학은 자본과 대기업에 '인간 제품'을 조달하는 가장 효율적인 하청 업체가 되었다. 기업은 더 비싼 가격표를 가진 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온갖 새로운 자격증을 요구한다. 이 변화 빠른 시대에 10년을 채 써먹을 수 없어 낡아 버려지는 우리들은 또 대학원에, 유학에 돌입한다.

'세계를 무대로 너의 능력만큼 자유하리라'는 넘치는 자유의 시대는 곧 자격증의 시대가 되어버렸다. 졸업장도 없는 인생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자격증도 없는 인생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학습된 두려움과 불안은 다시 우리를 그 앞에 무릎 꿇린다.

생각할 틈도, 돌아볼 틈도 주지 않겠다는 듯이 또 다른 거짓 희망이 날아든다. 교육이 문제다, 대학이 문제다라고 말하는 생각있는 이들조차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성공해서 세상을 바꾸는 '룰러'가 되어라", "네가 하고 싶은 것을 해. 나는 너를 응원한다", "너희의 권리를 주장해. 짱돌이라도 들고 나서!" 그리고 칼날처럼 덧붙여지는 한 줄, "그래도 대학은 나와야지". 그 결과가 무엇인지는 모두가 알고 있으면서도.

큰 배움도 큰 물음도 없는 '대학(大學)'없는 대학에서, 우리들 20대는 투자 대비 수익이 나오지 않는 '적자세대'가 되어 부모 앞에 죄송하다. 젊은 놈이 제 손으로 자기 밥을 벌지 못해 무력하다. 스무살이 되어서도 꿈을 찾는 게 꿈이어서 억울하다. 이대로 언제까지 쫓아가야 하는지 불안하기만 우리 젊음이 서글프다. 나는 대학과 기업과 국가, 그리고 대학에서 답을 찾으라는 그들의 큰 탓을 묻는다. 그러나 동시에 이 체제를 떠받쳐 온 내 작은 탓을 묻는다. 이 시대에 가장 위악한 것 중에 하나가 졸업장 인생인 나, 나 자신임을 고백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더 많이 쌓기만 하다가 내 삶이 시들어 버리기 전에. 쓸모 있는 상품으로 '간택'되지 않는 인간의 길을 '선택'하기 위해. 이제 나에게는 이것들을 가질 자유보다는 이것들로부터의 자유가 더 필요하다. 나는 길을 잃을 것이고 도전에 부딪힐 것이고 상처 받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만이 삶이기에 지금 바로 살기 위해 나는 탈주하고 저항하련다. 생각한 대로 말하고, 말한 대로 행동하고, 행동한 대로 살아내겠다는 용기를 내련다.

이제 대학과 자본의 이 거대한 탑에서 내 몫의 돌멩이 하나가 빠진다. 탑은 끄덕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작지만 균열은 시작되었다. 동시에 대학을 버리고 진정한 大學生의 첫발을 내딛는 한 인간이 태어난다. 이제 내가 거부한 것들과의 다음 싸움을 앞에 두고 나는 말한다. 그래, "누가 더 강한지는 두고 볼 일이다".


자발적 퇴교를 앞둔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3학년 김예슬




/*
이 글과는 관계 없는 에세이 글 하나 뽑아서 올려 봅니다.


교육의 참목적

"21세기의 요육 전쟁의 시대다.
앞으로는 교육과 문화의 가치는 더욱 중요해진다.
바른 교육과 참된 문화가 새로운 시대에 승자를 위한 무기가 될 것이다."


요즘 사(私)교육비 문제다. 학원가 비리다 해서 온 나라가 걱정이다. 아이 과외 공부를 시키기 위해서 어머니들이 파출부로 나서기도 하고 과외비를 마련하지 못한 소심한 가장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기가 막힌 일도 벌어진다. 얼마 전 직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도 요즘 가정의 제일 큰 고민이 아이들의 교육 문제, 더 정확히 말하면 교육비 문제라고들 했다. 교육 전문가라는 분들의 말을 들어 보아도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는지 속시원하게 풀리지 않는다. 우스갯소리겠지만 교육 문제, 교통 문제만 시원하게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선거 때 무조건 표를 찍겠다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기업을 경영하다 보니 내게는 비용과 효용을 따져 보는 습관이 몸에 배어 있다. 지금 전국민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지출하는 교육비의 목적은 과연 무엇일까. 부모들이 그렇게 갖은 고생을 하면서 자식들을 뒷바라지하는 이유는, 남보다 좋은 직장에 들어가 더 나은 생활을 하도록 하고 싶어서일 것이다. 그러니까 교육비 지출의 직접적인 효용은 좋은 직장에 취직하는 것인 셈이다. 그러나 정작 기업의 입장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얼마나 많이 배우고 어느 학교를 나왔는가가 아니라 그 사람이 어떤 일을 어떻게 하는 가이다. 아무리 우수한 학교를 나온 수재라도 입사 후에 평범하고 정해진 일만 잘한다면 그 사람의 효용가치는 별로 크지 않다.

  사람들은 흔히 삼성을 인재의 집단이라고 한다. 나는 이 점을 자랑 스럽게 여기고 있지만, 이들이 세계 유수 기업의 인재들과 비교해서 창의력이나 혁신적인 사고가 더 뛰어나냐고 묻는다면 별로 자신이 없다.

  삼성에서 입사한 인재들의 경우 대부분 표준화되고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 시스템에서 우등생 소리를 들어온 사람들이기 때문에, 획기적이고 창의적인 생각에서는 오히려 부족한 면이 있다. 이것은 그들의 잘못이 아니다. 굳이 책임을 묻자면 교육을 일류 직장에 취업하기 위한 도구로 만든 교육 시스템의 잘못이다.

  나는 교육의 목적이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배양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에 들어가는 돈도 이런 목적을 위해 쓰여야 한다고 본다. 교육비가 부모들의 주머니에서 나오는가. 나라의 재정에서 나오는가도 중요한 문제지만 더 중요한 것은 교육의 목적을 어디다 두는가일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교육비는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했을 때 그 사회가 필요로 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쓰이지 않고 있다. 이것은 크게 잘못된 일이다. 기업은 사람을 뽑을 때 이류 대학이다. 일류 대학이다 하는 학벌이 아니라 그 사람이 갖고 있는 능력을 원한다. 만약 지금 같은 교육 시스템이 게속 유지된다면 효용을 추구하는 기업들은 내외국인에 관게없이 능력있는 사람들을 쓸 수밖에 없다. 천문학적인 교육비가 기껏 어느 대학 출신이라는 학벌 따기에 쓰이는 현실은 기업이나 사회에 불행한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