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뉴스를 보니,

모질라 재단이 개발중인 파이어폭스OS 프로젝트에 LG도 참여의사를 밝혔더군요.

최근 안드로이드 OS로 상승세를 타고 있는 LG의 이런 결정은 어쩌면 의아할수도 있지만,

사실 당연하고 적절한 선택이 아닌가 싶습니다.


왜인고하니,

안드로이드OS 자체는 구글의 것이지만, 기계 판매로보자면 삼성전자가 부동의 1위이고 앞으로도 1위의 벽을 넘을 회사는 없을 것이라는게 첫번째,

두번째 이유는 삼성은 일찌기 인텔과 손잡고 리눅스 기반의 OS인 '타이젠'을 개발하고 있기때문입니다. (삼성이 밀고 있던 '바다OS'는 타이젠에 흡수)


그러니 삼성이 굳이 타이젠을 버리고, 파이어폭스OS에 손을 뻗치진 않을거라는 게 LG의 생각이 아닐까 싶습니다.

삼성이 파이어폭스OS에도 손을 댄다면, 또 2인자로 전락하게 될테니까요.


물론 파이어폭스OS에는, 저가형 폰으로 빠르게 중국시장을 점령하고 있는 ZTE도 있습니다.

그리고 모질라 혹은 파이어폭스에 대한 국내의 인지도가 낮기때문에,

LG로서도 국내 시장보다는 해외시장, 특히 이제 막 스마트폰이 도입되기 시작하는 나라들을 대상으로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만약 LG가 정말 이런 시장을 대상으로 파이어폭스OS를 탑재한 저가형 스마트폰들을 제조하기 시작한다면 어느정도 승산이 있지않을까 싶습니다.

왜냐하면, (상향평준화된) 고가형 스마트폰들은 이미 삼성과 애플이 점령을 해버렸기 때문입니다.

비슷한 맥락으로, 국내 시장에서의 성공도 힘들테고요..


한편, 리눅스 기반의 모바일OS가 하나 더 있는데요.

바로 리눅스 배포판 이름중 하나를 모티브로 한, 우분투 모바일OS가 있습니다.

최근에 시연버전이 나왔다곤하던데,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런지 그리 좋진않다고..

특징이라하면 소프트웨어키로 모든 조작이 가능하다는것. (물리버튼이 굳이 필요하지 않다고.., 이건 아마 타블렛쪽에선 좋을듯)


아무튼, 이러한 LG의 새로운 시장 개척에 관한 뉴스를 보면서 드는 생각은,

'차라리 윈도우폰을 만들지...'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노키아는 루미아620을 한국에 공식 출시하라!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