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아이리버 홈페이지를 가보니까,

휴대용 앰프처럼 생긴걸 팔길래, 아이리버가 이제 음향기기 사업으로 가는가?싶었는데,

알고보니 MQS라는 포맷을 지원하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였더군요.

이름도 왠지 거창한, 아스텔앤컨(Astell & Kern).


MQS라는 파일 포맷은, 최근에 아이리버에서 밀고 있는 음원포맷으로,

일반 CD음질은 훨씬 뛰어넘는 포맷으로 파일 하나당 대략 200MB정도 한다더군요.


아. 참고로 아스텔앤컨의 기계값은 대략 70만원. (7만원의 오타가 아닙니다)


아이리버의 소개에 따르면, MQS포맷은 음반 제작 스투디오와 직접 연계해서 만드는 과정을 거치기때문에,

음질 손실이 전혀 없고 잡음도 훨씬 줄어들기때문에, 현장 녹음 그대로의 소리를 들을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라고 합니다.

스펙상으로는 최대 24bit, 192kHz라고.. 일반적인 MP3파일은 24kHz정도라죠..

게다가 요샌 왠만한 녹음실은 모두 디지털화 되었을테니

디지털로 녹음된 RAW파일에 가까울지도 모르겠네요. (뭐 음악계의 용어나 장비들은 잘 몰라서 정확한 표현인지는 모르겠네요)


아무튼, 70만원짜리 기계를 사다가, 적어도 4~50만원쯤하는 헤드폰을 끼고(CD보다 좋다는 음원을 듣는데 싸구려 이어폰을 쓰진 않을테니),

또 아이리버에서만 판매하는 MQS음원을 구입해서 들어야 한다는 뜻인데, (MQS음원은 곡당 1,800 수준이라고)

그러면 노래 몇개 듣는데 벌써 최고급 컴퓨터 본체 한대 가격이 나옵니다.. (노래 100곡 = 180,000원, 용량은 20GB)

게다가 MQS음원은 CD리핑으로도 구할수 없는, (일단은) 아이리버에서만 받을 수 있는 음원이기때문에,

이 기계를 산다는 뜻은 아이리버에서 구입한 파일만 듣는다는 뜻입니다. (70만원짜리 플레이어 사다가 저품질 MP3파일을 들을순 없으니까)


아무튼, 삼성의 MP3P사업 진출과 최근의 스맛폰 열풍으로 인해,

아이리버가 뭔가 돌파구를 찾는다고 열심히 노력하는 것 같은데, (한때는 저가형 스맛폰을 만들기도 했었죠)

글쎄요..

우리나라에 '황금귀'가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지만,

롱런하긴 힘들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서는건 어쩔수 없군요..

뭐, 저의 걱정이 무안할정도로 '황금귀'들의 열화와 같은 지름으로 흥할수도 있겠지만요..

그래도 가수들이나 음반제작사 입장에선 굳이 하지 않을 이유가 없기때문에, 꾸준히 업데이트는 될지 모릅니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