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적인 일본어 단어중에 '비밀'에 해당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비밀이란 한자를 음독하여, 비 -> 히, 밀 -> 미츠.

나이쇼는 고유 일본어(?)에 가깝습니다.

 

미묘한 차이점은 있지만,

일반적인 용례를 보면,

히미츠는 누구에게도 알려지면 안되는 사실을 지칭할 때 주로 사용하고,

나이쇼는 둘사이 혹은 소규모 인원 내에서 외부의 사람에게 알려주지않을 약속이나 사실 등을 지칭할 때 주로 사용하더군요.

(일본어에 대한 조예가 깊지는 않아서 더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말에서 '비밀'에 해당하는 개념은 좀 폭넓게 잡혀있습니다.

'비밀'이란 단어 대신 다른 단어를 쓰기도 하지만,

세분화하여 별도로 사용하진 않습니다.

 

영어로 가봅시다.

'서명'에 해당하는 영어단어는 일반적으로, Signature입니다.

줄임말로 Sign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이 줄임말을 외래어로 차용해서, 흔히들 '사인/싸인'이라고 사용합니다. (싸인펜이란 제품명까지 있죠..)

그러면, 연예인들이 팬들에게 해주는 사인은 뭘까요?

똑같이 Signature일까요?

 

얼마전 MBC 무한도전의 한 에피소드에서,

노홍철/유재석/하하가 미국에 가기전에 코미디언 김영철에게 속성 영어과외수업을 받는 내용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사인 해주세요'라는 표현을 설명할 때, 김영철이 Signature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건 잘못된 표현입니다.

연예인들이 팬들에게 해주는 사인은 'Autograph'입니다.

Signature는 신용카드에 쓰는겁니다.

물론, 유명 연예인에게 커다란 종이를 들이밀면서 '기브미 시그니처!'라고 하면, 대충 알아듣고 Autograph를 해주긴 할겁니다..

 

그러니까 이런 일들은,

다른 언어를 옮길 때 표현의 한계가 있다보니 발생하는 일입니다. (어떤 언어가 더 뛰어나냐의 논쟁은 무의미합니다.)

해당 언어로는 그냥 하나의 단어로 표현하면 되지만,

다른 언어로는 그 뉘앙스를 설명하려면 한참을 설명해야하는거죠..

 

또, 영어의 예를 들어봅시다.

can이란 단어가 있습니다.

동사형으로 번역하면, '~을 할 수 있다' 혹은, '캔을 따다'가 되고,

명사형으로 번역하면, '캔, 깡통'이 됩니다.

 

어떤 미국인이, 'I can can this can'이라고 말하면서, 참치 통조림을 능숙하게 땄다고 합시다.

그러면 그걸 들은 한국인은 세번이나 나오는 can을 분석합니다.

아, 이 친구가 '나는 이 깡통을 딸 수 있다'라는 말을 하고 있구만이라고 이해를 하고,

영어-한국어 사전에 이렇게 기록하겠죠.

can: 할수있다, 깡통을 따다, 깡통.

 

하지만 반대로 사전을 보는 사람은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특히 언어적 특징을 이용한 말장난은 번역하기가 더 어렵죠)

영어 문장에서 나오는 can을 어떻게 번역해야할까??

그래서 '문맥에 맞춰'번역을 해야한다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비슷한 예로, '나'를 지칭하는 영어단어는 'I'를 주로 쓰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나'와 '제' 등을 나누어 쓰고,

일본어로는 더 많죠.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표현의 갯수가 많다고 좋은 언어라는 뜻은 전혀 없습니다)

 

 

뭐, 제가 어학에 소질이 없는 '내추럴 본 공대인'이다보니,

더 자세하게 분석은 못하겠습니다만..

 

어학공부를 하실 때, 이러한 단어의 번역 과정을 어느정도 감안하고 공부하신다면,

그냥 무작정 단어를 외우는 것보다는 훨씬 풍부한 응용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단, 단어 외우는 비법은 저도 모릅니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