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먹여살릴 IT벨트 만든다

[중앙일보 정선구 기자] 정부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규모 정보기술(IT)벨트를 조성하는 IT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다.

프로젝트 이름은 'UIB(Ubiquitous IT Belt) 전략'이다.

UIB는 서울 상암동, 인천 송도, 개성공단, 판교 등 수도권 네곳과 대덕연구단지 등 다섯곳을 하나의 망으로 엮어 구축된다.

정보통신부 고위 관계자는 19일 "지금 추진 중인 '839 프로젝트'가 10년간 우리나라를 먹여살릴 IT 전략이라면 UIB 구축은 30년간 먹여살릴 전략"이라며 "우리의 앞선 IT 인프라를 살리고 동북아 중심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IT 839 전략은 차세대 이동통신.전자칩.텔레매틱스 등 IT 관련 8대 서비스 사업, 3대 인프라 구축 사업, 9대 신성장동력 사업을 말한다.

정통부 측은 "이처럼 하나의 IT벨트로 묶는 것은 경쟁력 강화와 물류비 절감 등 산업 효율성을 높이고 외국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별로 추진하던 IT단지 개발은 중단될 전망이다.

현재 수도권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자체 IT벨트를 구축할 계획을 갖고 있다.

정부는 각 자치단체에 정부 방침을 설명하고 자치단체별 IT단지 개발을 중단토록 요청키로 했다.

정부는 UIB 전략을 두 단계로 나눠 추진할 방침이다.

우선 IT벨트 내의 각 단지에 공통의 설비를 갖추기로 했다.

같은 반도체 장비나 컴퓨터 그래픽 장치, 설계 시험장비 등을 설치해 비용을 줄이고, 표준화를 꾀한다는 것이다.

2단계로는 IT 정보와 인적 자원을 공유한다.

단지별로 나온 제품이나 기술.아이디어 역시 상호 교류를 통해 나눠 갖게 된다.

결국 단지별로 특화한 IT 제품이나 기술을 서로 융합.복합해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것이 정부의 전략이다.

UIB 구축으로 각각의 단지가 하나의 커다란 단지로 통합 운영되는 셈이다.

UIB 재원 마련과 관련, 기획예산처.산업자원부.정통부 등이 현재 협의 중이다.

정통부 관계자는 "UIB는 정부가 주도하되 민간기업의 참여를 적극 유도할 방침"이라며 "잠정적인 예산안과 정부.민간의 역할이 마련되면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단지별로 보면 서울 상암동은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콘텐츠 중심으로 운영된다.

송도에는 최근 준공된 테크노파크에 IT뿐 아니라 생명공학(BT).신소재산업 등 첨단 업종이 입주한다.

판교에는 20만평 규모로 IT단지가 조성되며 '인터넷 비즈니스센터'도 들어선다.

개성공단에는 IT 제조업체들이 자리잡을 예정이다.

대덕은 연구개발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정선구 기자 sungu@joongang.co.kr ▲ 유비쿼터스(Ubiquitous)='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다.

언제 어디서나 어떤 것을 이용해서라도 온라인 네트워크상에서 서비스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이나 공간을 의미한다.



--------------------------------------------------------------
"퇴직사원이 IT기술 해외유출 주도"  



응답기업 45% `심각한 위협'..매출.손익감소등 직접피해 91.7% (서울=연합뉴스) 류현성 기자
IT(정보기술)기술 해외유출은 주로 퇴직사원에 의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수출진흥센터(ICA)가 21일 발표한 `IT기술 해외유출 방지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기술유출을 시도하는 주 대상은 퇴직사원이 69.4% 인 반면 현직사원은 16.6%인 것으로 분석됐다.

IT핵심기술 보유기업 770개사중 응답한 194개 회사를 대상으로한 이번 조사에서 는 특히 응답기업의 45%가 산업보안에 대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고 답했으며 18.

6%의 기업은 기술유출 피해 경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기술유출로 인한 피해유형으로는 매출 및 손익감소 등 직접적 피해 발생이 91.7 %로 가장 많아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산업보안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안의 생활화를 위해 가장 기본적 산업보안 단계인 `보안관리규정'을 도입.활용하고 있는 업체는 27.6%로 전체 기업의 3분의 1 미만이었으며 퇴직자에 대 한 보안관리를 하는 업체도 50%에 못미쳤다.

응답 기업들은 하지만 해외 기술유출 방지 활동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주체는 정보기관 및 관련 정부부처로 보고 있으며 기술유출자 처벌을 위해 적극적으 로 법률을 개정, 보안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통부는 이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IT기술 해외유출방 지협의회를 구성하고 경영층의 기술보호에 대한 관심촉구와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잘됬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