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다보니 왠지 기획물처럼 되어버린 글이지만..

아무튼 계속 써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OS의 지속력 혹은 생명력'이란 부분에서 굉장히 중요한 요소중 하나가 '컨텐츠'라고 생각합니다.

아 물론, 보안성, 안정성이나 레거시 지원, 폭넓은 범용성도 중요합니다..


아무튼, '컨텐츠'를 중심으로 안드로이드OS에 대해 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일단, 우리가 컴퓨터를 켜고 하는 일을 생각해봅시다.

문서를 작성하고, 영화를 보고, 게임을 합니다.

그러니까 문서, 영화, 게임 같은 것들이 컨텐츠인데,

이러한 컨텐츠를 만들고 돌리기 위해,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고,

그 프로그램들은 OS위에서 실행이 됩니다.


굳이 비유를 하자면,

커널과 OS는 길이고,

프로그램은 자동차, 그리고 컨텐츠는 목적지랄까?


게임안의 내용(컨텐츠=목적지)을 즐기기 위해, 게임이란 프로그램(=자동차)을 사용하고, 프로그램을 돌리기 위해 OS+커널(=길)이 필요한거죠.

영화를 보는것도 마찬가지,

'반지의 제왕'을 볼때, x86기반의 윈도우 데스크탑에서 팟플레이어를 이용해서 보든,

ARM기반의 넥서스7에서 MX플레이어를 이용해서 보든,

비슷한 경험을 하는 것이지만, 다른 도구를 이용해서 보는거죠..


탈것으로 비유해보자면, 부산에서 서울을 가는데, 고속도로로 자동차를 타고 가든,

하늘길로 비행기를 타고 가든, 기찻길로 기차를 타고가든 어쨌든 목적지에는 도착하는거죠..


하지만,

여기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탈것 비유에서는 '도착하는 속도'일 것이고,

IT컨텐츠에서는 영상의 '크기'라든지, 게임의 '비주얼 퀄리티'라든지, 소프트웨어 계산 '속도'의 차이가 난다는거죠.



아이폰의 전세계적인 '붐'을 일으켰던 아이폰3G(S)도 320x480이라는, 지금 기준으론 조악한 해상도였습니다.

720/1080p급 HD영상이 대세였던 시대에 말이죠.. 

뭐.... 불과 몇년만에 ARM코어가 급성장 해서, 이제는 HD급의 영상을 보는데도,

ARM+안드로이드OS 조합만 있으면 되긴하죠.


하지만 게임분야는 여전히 ARM+안드로이드OS와 x86/x64+윈도우OS의 차이는 굉장히 큽니다.

반대로 말하자면,

'고퀄리티 비주얼의 실시간 3D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x86/x64+윈도우OS 조합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특정 '컨텐츠'를 즐기기 위해서 CPU아키텍처와 OS를 선택하는 것이죠. (비슷한 예로, PS4독점작을 위해 PS4를 구입하는 것)

탈것에 비유해보자면, 5톤짜리 짐을 싣고 시골 구석에 가려한다면, (고퀄리티 비주얼 3D게임)

5톤 트럭(게임 프로그램)에 고속도로+시골길(윈도우OS)을 타고 가는게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는거죠.


하지만, 안드로이드OS도 이제는 굉장한 양의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일반 PC에서는 접근하기 힘든 e-Book시장도 섭렵했고, (원화결제를 가능하게 한건 아이튠즈보다 빠르죠)

안드로이드OS 고유의 컨텐츠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제 구글이 어떤 결정을 하느냐에 따라,

안드로이드OS가 손바닥 위를 떠나서 책상위로 올라오느냐 마느냐 하는거죠.

구글의 역량이라면, 온라인에서 사용하는 '구글 DOCS'를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만들수도 있고,

안드로이드OS를 데스크탑용으로 개조해서 HTPC(홈시어터PC) 시장을 넘볼수도 있으니까요.

'구글TV'나 '크롬캐스트'를 보고 있노라면, 구글도 HTPC시장 진출에 대한 생각이 전혀없는건 아닐거거든요..


아니면, 구글은 때를 기다리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안드로이드OS의 지배력이 좀 더 넓어졌을 때에야 윈도우OS를 위협할 수 있을거라 생각하는지도..

모바일계에서는 왕좌를 차지하고 있지만, 데스크탑 시장이란 성벽은 여전히 난공불락이니까요.

물론 데스크탑 시장도, 애플과 리눅스OS의 선전, 그리고 마소의 계속되는 삽질(특히 윈8)로 인해,

윈도우 독주체재가 조금씩 의심받고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

그리고 윈도우OS는 어쩌다보니, 유일하게 돈받고 파는 상용OS가 되어버리기도 했고요..


이러한 움직임은, PC기반 '게임'분야에선 최대의 유통망을 구축하고 있는 스팀의 행보를 보면 될것 같습니다.

'게임'이란 컨텐츠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는 스팀은 자기가 만드는 스팀OS에서 돌아가는 게임을 유통해도 충분히 돈이 될것이라 생각했기때문에,

스팀OS니 스팀박스하는걸 구상하고 있는거죠..


모르죠...

아무도 모르는 구글의 어느 지하 연구소에서,

윈도우OS에 버금가는 데스크탑용 안드로이드OS를 이미 시험하고 있을지..



요약하자면,

지금 시점에서 보면, 안드로이드OS 자체적으로 충분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기때문에,

데스크탑OS 진출도 충분히 노릴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구글은 윈도우를 여전히 견제하고 있는 것 같다..

정도로 되겠습니다.


첨언하자면,

앞으로 웹서비스(금융/쇼핑)업체나 게임업계가 윈도우OS에서만 실행되는 것들,

예를들면 액티브엑스/다이렉트X 같은 걸 벗어나려 한다면, (대안은 항상 있었죠)

언젠가는 OS선택도 마치 취향에 따라 웹브라우저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고르듯,

그저 선택 옵션 중 하나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