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조합에 가입해서 채굴을 했지만 2013년 11월 28일 비트 코인을 분배 받았다.

참고로 비트코인은 비트 코인 채굴자에 의해 발권이 이루어 지는 디지탈 화폐이다.

발권은 채굴자의 장비(PC나 ASIC으로 구성된 채굴 전용머신)로 수학적 문제(가령 소수 찾기 문제라고 해두자!) 를 풀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문제의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채굴가능한 량은 2100만 비트 코인이다.

발권("inflation"이라고도 한다.)이 제한되면 특정국가가 기축통화를 지배해서 마구 잡이로 경제의 혈액인 화폐를 찍어내는 일이 사라진다.

생각해 보라. 싱가폴 국립대학의 신장섭교수는 기축통화를 지배하는 국가가 화폐의 액면에서  발권금액을 뺀 나머지 액수만큼 이익을 거둔다는 생각에 동의한다.

예를 들어 달러를 생각해 보자. 1달러를 찍어 내는 데 얼마가 들까? 전신환으로는 키보드로 숫자를 치는 비용이 들것이고 

인쇄된 화폐라면 섬유값+잉크값 +인쇄기 돌리는 가격 정도 들것이다. 1달러당 0.9달러이상의 이익이 생긴다는 얘기다.

게다가 미국 기업은 미 중앙은행으로부터  마이너스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다.(정확히 말하면 중앙은행과 거래하는 은행이 그럴거다.) 100만원 빌리고 99만 5000원만 갚는 식이다.
이런 휴지 같은 돈이 경제의 혈액이기 때문에 현대 자동차와 삼성전자의 노동자들은 오늘도 수명을 줄여가며 수출에 매진하다. (휴지라서 그런게 아니고 경제의 혈액이라서!@)

개인적 생각으로 이런 발권이 제한된 디지탈 화폐가 통용되면 각 국가의 고용률을 올려 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왜 그런지 긴 얘기는 생략한다.


이 글의 조회수가 2만이상을 찍을 거라고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