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엄청난 락이라고 광고해도, 진념에 불탄 크래커의 공격에 금세 뚫리는 관경을 보고있자하니 불법복제를 막는 것은 불가능할거란 생각이 들더군요.

불법복제 방지는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복제를 양성화 하면 되는거다, 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복제 양성화 방법에 대한 제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국가 공인 서버를 만든다. 이곳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게임을 다운 받을 수 있으며, 다운 횟수를 면밀히 저장한다.
2. 국가는 게임의 다운 횟수에 따라 제작자에게, 이익금을 준다. 여기서 이익금은 세금에서 나온다.


게임을 도로 같은 공공 재화로 인식한다... 고 보면 되겠지요.


이 아이디어만 실현되면 제작자는 더이상 배고프지 않을것입니다. 노력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받게 되니까요. 또 복제 촉진화로 인류 전체는 이익을 보게 됩니다. 게임, 음악, 소설 등은 복제되어 사람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질수록 인류 전체로 봐서는 이익입니다. 복제는 다른 유형의 상품들과 달리 생산에 따른 추가 자원 소비가 없으니까요.
이 아이디어 상에서, 사람들은 게임을 많이 다운로드 받고 즐겨야 이익입니다. 어차피 게임을 하건 안하건 일정 액수 세금으로 나가니까요.



아이디어 실현을 방해하는 장애물과 부작용등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1. 다운로드 횟수 조작 문제

첫째, 국가 서버에서 다운받지 않고 사설 서버에서 다운받거나 P2P 공유 등으로, 다운로드 횟수를 실제보다 적게 조작할 경우.

충분히 걱정될 만한 상황이지만, 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이렇게 해야할 동기가 없다는 겁니다. 다운로드 횟수를 줄여봤자, 플레이어에게 이익되는 것은 전혀 없습니다. 또한 그 게임을 다운받아 즐긴다면, 그 게임의 팬일 가능성이 높기에 재미있는 게임을 제작해준 제작자에게 이익이 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국가에서 제공하는 서버가 P2P나 사설 서버보다 충분히 빠르고, 또 접근하기 쉽다면 사설서버나 P2P를 이용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을 것입니다.


둘째, 제작자, 또는 팬들이 다운로드 횟수를 과다하게 늘릴 경우
이 경우가 꽤 문제인데, 인터넷 가수 인기투표만 봐도 암울한 한숨만 나옵니다. 하지만, 다운로드 횟수가 아닌 다른 방법을 이용한다던가, 개인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다면 어찌 돼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그래도 이 아이디어의 가장 큰 약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셋째, 다운로드 횟수가 게임의 인기, 게임의 질을 충분히 반영치 못할 경우
모든 게임마다, 게임의 플레이 시간, 게임의 플레이 시도 횟수등을 복합적으로 반영하는 편이 옳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도 역시 진정으로 훌륭한 게임보다 노가다성 게임들이 혜택을 받을 우려가 큽니다.

첫번째는 동기가 없어 그렇다 치더라도, 두번째, 세번째가 꽤 문제인데, 불법복제를 막는 것보다는 훨씬 수월하리라 생각합니다.


2. 게임의 지나친 활성화 문제

사람들이 지나치게 게임에만 빠질 경우가 문제입니다. 어떻게든 제약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딱히 방법이 생각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아이디어 적용 범위를 게임에게만 한정시키지 않고, 책이나 음악등으로 범위를 넓게 생각하면 크게 문제될 방법이라 생각지 않습니다.


3. 인프라 구축과 국가의 결단

인터넷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못하면 세금은 꼬박꼬박 내면서 게임을 다운받는 혜택을 누리지 못한 사람들이 생기면 안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시간이 해결해줄 겁니다.

이 아이디어는 국가 차원에서 받아들여져야 실현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세상 만물 중 가장 느리게 반응하는 그들이 움직이려면 한참의 세월이 걸리겠지만, 어쨌든 실현될 것입니다.





-결론

현재의 흐름을 볼때 이런 시스템이 도입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과거 넥슨이 카트라이더로 코카콜라등을 광고해주며 수익을 얻은 적이 있는데, 그 방법이 바로 이 방법의 변종입니다. 국가가 기업으로 바뀌었고, 그 기업은 다운로드 횟수 대신 카트라이더의 인기로 지급액을 판단했다는 것만 생각하면 말이죠.

언젠가는 인터넷 인프라는 충실히 구축될 것입니다. 또 언젠가는 인터넷으로 대통령을 뽑는 온라인 선거 시스템이 완비될 것인데, 그 시스템을 이용하면 다운로드 횟수 조작 문제 정도는 가볍게 해결되겠지요.


저보다 똑똑한 사람들은 많고, 그 사람들 중 몇명은 이미 이 방법을 머릿속에 담고 있겠지요. 그런 만큼 시대가 변하고 시스템이 완비되면 자연스럽게 실현 되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