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에 앞서,

한때는 Windows의 공식 명칭이 '윈도우즈'였던걸로 기억하는데,

요새는 공식홈페이지에서도 '윈도우'라고 쓰길래, 그냥 '윈도우'로 표현하겠습니다.


요즘 TV를 보면, 윈도우8 광고를 볼 수 있습니다.

제 기억으론, 이전 윈도우들도 짧게나마 TV광고를 했던 것 같은데, (아니면 인텔처럼 윈도우 사용 제품군 광고시 초반에 잠깐 로고가 나오는식)

윈도우8처럼 대대적으로 광고하는건 이례적인 것 같습니다.


아무튼 윈도우8 출시가 한달이 다되어가는 시점에서도 계속 광고를 하고 있습니다만.. (물론 출시후 한달 넘게 광고하는게 이상한건 아닙니다)

문제는, 광고하는 포인트가, 국내에는 언제 출시할지도 모르는, 타블렛 위주이다보니

완전 뜬구름 잡는 광고가 되어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이패드는, 광고를 보고 '오~ 좋은걸' 하며 인터넷이나 매장으로 찾아가서 바로 구입할 수 있지만, (4세대 아이패드나 아이패드 미니도!)

윈도우8 타블렛은 광고를 봐도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구입할수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일반 사용자들은 구입할 마음도 있고 돈도 장전되어 있지만, 광고를 보고 손가락만 빨고 있어야한다는 뜻입니다.


물론 윈도우8을 접할수는 있습니다.

윈도우8 업그레이드판이나 DSP판을 구입해다가 설치를 하거나,

최신 브랜드PC를 구입한다면, OEM버전으로다가 윈도우8을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XP에서 넘어가는 사람은 물론이고, 윈도우7에서 넘어가는 사람들도 제법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게 문제라면 문제입니다.

좀 적응력이 빠른 사람들은 메트로UI의 시작화면을, '조금 확장된 시작버튼'정도로 생각하지만,

저같은 일반적인 사람들에겐 조금 번거로운 것은 사실입니다. (뭐 이부분은 패치를 통해 조금씩 나아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자, 그럼 윈도우8의 구매포인트에 대해 생각해볼때입니다..

윈도우8을 이야기하기전에 윈도우7에 대해 잠시 살펴봅시다.

윈도우8의 이전 버전인 윈도우7의 구매포인트(혹은 셀링포인트)는 가벼움과 다이렉트X11과 비트로커였습니다. (물론 물건너 나라에선 어떤 캐릭터가 구매포인트였다는 소문이..)

물론 비트로커는 비스타때부터 있었던거고, 7의 가벼움이란 것도 비스타때의 커널을 좀더 손본것이기에 특별할 것은 없다고 합시다..

그러면 결국 다이렉트X11(이하 다렉11)이 남습니다.

라데온의 5k시리즈의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다렉11은 잠깐 인기를 누리는 듯 했으나.. (테셀레이션이라든지 GPGPU같은게 반짝했지만, 여전히 제대로 써먹는 소프트웨어가 별로 없다는게 함정)

오히려 다렉9(윈도우XP)에게 발목이 잡혀서 힘을 못쓰고 있습니다. 아직도..


스팀의 OS점유율같은걸 보면, 윈도우7의 점유율이 꾸준히 올라가고 있지만,

다렉11 전용 게임은 이제서야 몇개 나올정도입니다. 그것도 EA처럼 라인업과 자본이 빵빵한 회사들만 가능한 이야기고,

온라인 위주 게임이나 국산 게임들은 여전히 다렉9전용으로 나올수밖에 없는게 현실입니다.


(다시 윈도우8의 구매포인트 이야기로 넘어와서..)

이런 맥락으로 보면, 윈도우8의 구매포인트중 하나가 될 수 있는게 다렉11.1입니다.

11에서 11.1으로의 변화인만큼, 굉장한 변화는 없는듯합니다만... (다렉11.1 지원카드에선 최신 베타드라이버 기준으로 굉장한 향상이 있다곤 함)

다렉11.1을 사용하려면, 다렉11.1을 지원하는 VGA와 (라데온은 7k시리즈, 지포스는 6xx버전부터)

윈도우8이 있어야합니다. (뭐, 7에서도 부분적으로 지원할거라는 루머가 있긴하지만..)

그러니까, 결국 다렉11.1도 윈도우8의 구매포인트가 되진 못합니다. (다렉11이나 11.1을 제대로 지원하는 게임이 별로 없다는 것도 큰 몫을 하고)


물론 윈도우8의 구매포인트가 다렉11.1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윈도우8의 큰 의의는, RT버전(ARM코어)과 일반 버전에서의 호환성일것입니다..

이를 위한 개발도구도 이미 나와 있는걸로 알고 있고요..

하지만 이것은 (윈도우 기반)개발자들에겐 솔깃할만한 소식일지 모르겠으나,

일반 사용자들에겐 좀처럼 와닿지 않는 부분입니다.


한편, 해외구매를 통해 사용해본 사람들의 사용기들을 읽어보면,

사무용으로는 더할나위 없이 좋다고 하던데.. (오피스RT버전이 있으니)

여전히 키보드와 마우스(터치패드)는 필요하더라..하는 아쉬움이 남더라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첫술에 배부르랴'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특히나 마소의 특성상, 처음 나오는 제품군은 '베타'딱지를 달고나온다는 말도 있습니다.

하지만, 애플과 구글이 득세하고 있는 지금의 모바일(스맛폰/타블렛) 시장에서는 첫술에 배불리지 못한다면, 금방 가치가 떨어질 것입니다. (이건 다른 모바일OS도 마찬가지)

뭐.. 그걸 마소도 모르는게 아니라서 그렇게 TV나 인터넷을 통해 광고를 해대는 것이겠죠..

하지만, 앞서 썼듯이.. 물건을 못사는데 광고를 하면 어쩌겠습니까..?


이래저래 안타까운 마소입니다.


요약하자면,

윈도우 타블렛(특히 서피스RT) 국내 출시가 언제될지 모르는 와중에 윈도우8 TV광고를 보고 있노라니,

마이크로소프트가 참 안쓰러워보인다는 내용입니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