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작성한 글에 달린 리플들을 보면서 글쓴 의도와 약간 다르게 해석되는 부분들이 생길까 하는 우려에

좀 더 구체적인 실행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어떤 행위에 대한 결과는 그 결과 자체가 다른 목적을 위한 용도로 쓰이게 되면 훼손되기 쉽다

예를 들면 내신성적을 대학 입학에 반영하기 이전에는 내신성적이란 것이 학생이 평소에 얼마나 성실하게

공부했나? 라는 것을 어느정도 잘 반영했지만, 그 내신을 대학 입학에 반영한 이후부터는 각종 꽁수들이

등장하여 내신성적 자체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과를 계량화한다는 것은, 그 결과 자체를 목적으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나중에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위의 내신성적의 예와 마찬가지로 결과가 목적이 되면 유용하게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2. 어떤 조직의 성과를 긍정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결과판단의 기준을 미리 알리지 않거나 자주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인적자원부가 매년 학생과 학부모에게 욕을 먹어가면서도 입시제도를 자꾸 바꾸는 이유가 무엇일까?

과연 단순히 백년대계를 감안하지 못하는 근시안적 사고방식과 관료주의의 폐단인 것일까?

필자가 보기엔 그 반대다. 오히려 인재양성이라는 근본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몸부림인 것이다. 결과계량

의 공식은 굳어지는 순간, 온갖 꽁수와 핵으로 그 본질적 목적이 훼손될 수 밖에 없다. 인재양성이라는

단순명쾌하게 계량화 될 수 없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결과 측정 방식을 미리 알려주지 않거나

자주 바꾸는 것이 꽁수와 핵으로부터 지키는 자구책이 되는 것이다.


사례가 생각나는대로 더 보충하겠습니다

imcgames 의 김학규입니다